티스토리 뷰
목차
2022년 개봉한 최동훈 감독의 영화 **'외계+인 1부'**는 한국 영화계에서 보기 드문 SF와 전통 판타지의 융합을 시도한 작품입니다. 개봉 당시 파격적인 설정과 화려한 비주얼로 주목받았지만, 다소 복잡한 서사 구조와 빠른 전개로 호불호가 갈렸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른 지금, 이 작품을 다시 보면 처음에는 보이지 않던 장점들이 드러나며 재평가의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번 리뷰에서는 '외계+인 1부'의 스토리, 비주얼, 흥행 성적, 그리고 현재의 평가 변화까지 깊이 있게 분석해 보겠습니다.
1. '외계+인 1부'의 독창적인 스토리와 세계관
1) 시공간을 넘나드는 파격적인 전개
'외계+인 1부'는 고려 시대와 현대를 오가는 복합적인 스토리라인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과거와 현재, 그리고 SF와 전통 무협이 동시에 펼쳐지면서 한국 영화에서 보기 힘든 독특한 서사를 구축했습니다. 영화는 외계인이 지구에 죄수를 가두고, 이를 관리하는 '가드'(류준열)의 이야기를 축으로 삼고 있습니다. 이와 동시에 고려 시대를 배경으로 한 도사 '무륵'(김태리)과 신검을 찾는 인물들이 등장하며, 두 시대가 서로 연결됩니다. 이러한 독창적인 구성은 기존 헐리우드 SF 영화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한국적 SF의 새로운 시도로 볼 수 있습니다.
2) 복잡한 서사와 호불호가 갈린 개봉 당시 반응
이처럼 파격적인 전개는 신선하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동시에 "이해하기 어렵다", "스토리가 너무 복잡하다"는 반응도 있었습니다.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사건들과 설명이 부족한 설정 때문에 일부 관객들은 몰입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영화의 세계관을 연구하고 다시 보는 관객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OTT 플랫폼 등을 통해 반복 감상을 하면서 새롭게 이해되는 요소들이 많다는 점이 '외계+인 1부'의 재평가 요인 중 하나가 되고 있습니다.
2. CG와 액션 연출 한국 SF 영화의 한계를 확장하다
1) 한국 영화에서 보기 드문 SF 비주얼
'외계+인 1부'는 한국 영화 역사상 손꼽히는 SF 영화 중 하나로, 비주얼적으로 엄청난 완성도를 보여줍니다. 외계인의 디자인, 우주선, 로봇 등 SF적 요소들이 고퀄리티 CG로 구현되었으며, 우주와 고려 시대가 한 화면에서 공존하는 독특한 연출은 이 영화만의 차별점입니다. 특히 김우빈이 연기한 썬더캐릭터는 외계 기술을 활용하여 하늘을 날고, 강력한 무기를 사용하는 장면에서 압도적인 비주얼을 보여줍니다.
2) 무협과 SF 액션의 조화
김태리가 연기한 무륵의 무협 액션은 기존 사극 영화와는 다른 현대적인 감각을 가미하여 스타일리시한 느낌을 줍니다.
류준열이 맡은 가드는 총격전과 현대식 전투를 펼치며, 도사들과 외계인 사이의 충돌을 더욱 극적으로 만듭니다.
SF 영화이지만 전통적인 검술 액션과 총격전이 공존하는 장면들은 독특한 볼거리를 제공합니다.
2024년 현재 다시 보면, 당시에는 미처 발견하지 못했던 세밀한 연출과 액션 디자인의 디테일이 더욱 돋보이며, 한국 SF 영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작품이라는 점이 분명해집니다.
3. 개봉 당시 흥행과 현재의 평가 변화
1) 예상보다 낮았던 흥행 성적
'외계+인 1부'는 개봉 후 누적 관객 수 약 150만 명을 기록하며, 기대보다는 저조한 성적을 거두었습니다. 이는 약 330억 원의 제작비를 고려했을 때 다소 아쉬운 결과였습니다. 당시 흥행이 기대에 못 미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스토리의 난해함으로 빠른 전개와 복잡한 설정이 일부 관객들에게 어려웠습니다. 1부만으로는 완결되지 않는 서사는 2부를 전제로 한 구성이기 때문에, 개봉 당시에는 불완전한 느낌을 주었습니다. 또한 마케팅 전략의 문제로 SF 영화인지, 판타지 영화인지 명확하지 않은 홍보 전략이 일부 관객들에게 혼란을 주기도 하였습니다.
2) 2024년 현재 재평가받는 이유
하지만 개봉 이후 2년이 지난 지금, '외계+인 1부'는 OTT 플랫폼에서 다시 주목받으며 재평가되고 있습니다. 반복 감상을 통해 이해도가 높아짐으로 복잡했던 설정이 다시 보면 더욱 흥미로운 요소로 다가옵니다. 또한 '외계+인 2부' 개봉 이후로 기대감 상승되고 1부가 2부로 이어지는 점이 강조되며 다시 보는 관객이 증가되었습니다. 독창적인 시도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 증가 헐리우드 영화와 차별화되는 한국적 SF 스타일이 새롭게 인정받고 있습니다.
특히 해외에서도 "한국 영화의 새로운 도전", "헐리우드 SF 영화와는 다른 매력을 가졌다"는 평가가 나오며,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팬들에게도 점점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결론: '외계+인 1부'는 어떤 영화로 기억될까?
'외계+인 1부'는 단순히 상업적인 흥행 성적을 떠나, 한국 SF 영화의 가능성을 보여준 작품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파격적인 세계관과 독창적인 스토리에 헐리우드 SF에 뒤지지 않는 CG와 액션 연출과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재평가되는 작품으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비록 개봉 당시에는 호불호가 갈렸지만, 지금 다시 보면 새로운 시도를 한 용기 있는 작품이라는 점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특히, '외계+인 2부'가 개봉한 이후로 1부에 대한 관심도 더욱 높아졌습니다. 앞으로 이 시리즈가 한국 SF 영화의 대표작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기대됩니다.